전체 글(79)
-
아이폰 알심 R-SIM 사용방법
2018년에 올렸던 글을 다시 올린겁니다. 기다리던 KT m모바일 유심이 왔습니다. 거의 일주일이 걸렸네요 우체국 택배로 하루 만에 왔네요 유심, 유심 개통 방법, 심 어댑터 이렇게 들어있습니다. 유심은 그냥 손으로 쉽게 떼집니다. 그리고 아이폰에서 심 트레이를 빼줍니다. 심 핀은 아이폰 구성품, R SIM통에 들어있습니다. 심 트레이 모양에 맞게 R SIM을 올려주시는데요 R SIM 끝부분이 약간 튀어나올 거예요 이렇게 하면 위에 유심을 올려도 부피 때문에 아이폰에 들어가지 않습니다. 이렇게 R SIM 끝부분이 유심 트레이 아랫부분으로 가야 트레이 모양에 맞게 깔끔하게 들어갑니다. (별거 아닌 거라 다른 블로그엔 설명이 없는데 전 여기부터 걸렸었습니다.... 그래서 적는 거예요) 이제 이렇게 R SIM..
2020.03.20 -
알심 업데이트
2018년에 올렸던 글을 다시 올린겁니다. 알심엔 소프트웨어가 들어있고 시간이 지나면 새 버전의 소프트웨어가 나옵니다. 기존 알심의 버전을 최신 버전으로 올려볼게요 홍콩에서 알심 업데이트 동글이 도착했습니다. 알심 동글 + 알심12 번들 세트와 알심 동글 단품 구매했고요 총 3개, 택배비, 페이팔수수료까지 $30.57 달러 들었습니다. 동글만 구매하려고했는데 최소 20달러부터 배송이 가능했고 동글만 여러개 시키면 통 관중 문제가 생길까 봐 이렇게 구매했습니다. 알심은 나노심인데 동글은 일반심 규격이라서 사진처럼 유심 어댑터를 이용해서 동글에 꼽고 pc에 연결합니다. 장치 관리자에서 포트를 누르면 사진처럼 USB to Serial 장치가 잡힙니다. 알심 업데이트 프로그램을 켜면 인식되고 다운로드를 누르면 ..
2020.03.20 -
시놀로지 프로세스 확인하기
DSM에서 리소스 모니터를 이용하면 프로세스 정보를 볼 수 있지만. 프로세스를 끝낼순 없어서 찾는 방법. CentOS와 같음. ssh에서 ps -e | grep abc (abc라는 단어가 들어간 프로세스를 찾아줌) 나 같은 경우는 ffmpeg를 찾으려고 했으니 ps -e | grep ff라고 침 그랬떠니 2개가 떴다. 그중 ffmpeg의 pid가 21381이고 이걸 종료하기 위해 sudo kill 21381을 쳤다 자세한 건 아래 참조 http://121202.tistory.com/45
2020.03.20 -
시놀로지 패키지 볼륨 이동하기
패키지를 볼륨 1-> 2로 이동하거나 하기 위한 방법. 가장 먼저 볼륨 이동할 패키지들을 정지시키고 ssh로 nas에 접속한다. 오디오 스테이션을 볼륨 1에서 2로 이동한다면 /var/packages/AudioStation/scripts/start-stop-status stop 이건 오디오스테이션을 정지하는 명령어이므로 정지돼있다면 안 해도 됨 mv /volume1/\@appstore/AudioStation /volume2/\@appstore/ rm -fv /var/packages/AudioStation/target ln -s /volume2/\@appstore/AudioStation /var/packages/AudioStation/target 위 3줄이 핵심이다. /var/packages/AudioSt..
2020.03.20 -
마인크래프트 자동낚시
시작하기 앞서서 이전에 제가 본건 실이 필요해서 만들기 귀찮기도 하고 에임 잡는 게 어려웠는데 구글 검색하면서 어떤 스트리머분의 영상에서 보고 배워왔습니다. 바닥 3칸을 판 뒤 상자 2칸을 놓고 왼쪽에 깔때기를 상자를 향해서 설치 그리고 깔때기 앞에 노트 블록 놓고 위에 철 다락문 설치 깔때기 위에 울타리 설치, 울타리 위에 나무 발판 설치 울타리 양옆은 블록을 설치하는데 오른쪽은 창고를 열어야 하니 계단이나 반 블록 설치 울타리 앞쪽은 나무 다락문을 설치하거나 다른 방법으로 물이 안 흐르게 합니다 사진처럼 다락문 이용하면 각도 잡기가 편해요 설 때 다락문에 붙고 너무 앞으로 가서 몸이 발판을 누르지 않게 서야 됩니다. 처음 낚싯대를 던질 때는 그냥 발판으로 던지면 됩니다. 낚싯대를 던졌으면 마우스 커서..
2020.03.20 -
ASROCK RACK D1541D4I 보드 IPMI 메뉴
IPMI 포트로 접속하면 이렇게 나오는데 로그인을 합니다. 기본 계정은 제조사마다 다를 듯싶은데 제 보드는 admin / admin입니다. 계정이 기본 계정인 경우 설정에서 꼭 변경해주셔야 합니다. 안 그러면 보안에 취약해집니다. 제일 처음 대시보드에 이렇게 나옵니다. 각종 센서에 온도, 전압 등을 한눈에 볼 수 있습니다. 인상 깊었던 기능이 이 기능입니다. 아마 블루 스크린이 뜨면 그걸 스냅샷 찍어서 기록해주는 기능 같습니다. 아직은 블루스크린이 떠본 적이 없는데 만약 뜬다면 바로 봐야 되겠습니다. 기능이 꽤 많은데 마땅히 보여드릴 건 이 정도뿐이네요 원격 콘솔 접속 방법은 대시보드에서 Remote Control 옆에 런치를 누르면 jviewer이라는 자바 파일이 받아집니다. (원격 진행할 pc에 자바..
2020.03.14